Search This Blog

Friday, August 22, 2014

치료자 예수님: 깨우심

치료자 예수님: 깨우심

1. 베드로의

ㄱ.  베드로는 예수님의 수제자이었다제자들의 목록에는 항상 제일 먼저 언급이 되었다 ( 10:2-4, 3:13-19, 6:12-16, 1:12-13). 그는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라는 유명한 신앙고백을 하였고 ( 16:16), 예수님 처럼 위를 걷기도 했으며 ( 14:29), 요한, 야고보와 더불어 다른 제자들이 경험 못한 예수님의 여러 일들을 가까이서 보았다 (야이로의 딸을 살리실 5:36-42, 8:50-56; 변화산에 올라가셨을 17:1-8, 9:2-8, 9:28-36; 겟세마네 동산에서 십자가를 앞두시고 기도하실 -- 14:32-34). 그는 요한과 더불어 예수님의 마지막 유월절 저녁을 준비하기도 했다 ( 22:8). 베드로의 많은 우발적인 발언들과 ( 15:5, 16:22, 17:24-26, 18:21, 19:27, 26:33-35, 11:21) 행동은 ( 18:10), 아마도 베드로가 예수님과 가장 가까이서 행보하지 않았을까 하는 추측을 하게 한다.

ㄴ.  그러나, 그는 졸다가 실수하였다.

·         변화산에서 예수님께서 모세와 엘리야로 더불어 장차 죽으실 것을 말씀하실 때에, 베드로는 졸다가 깨서 ( 9:32), 자기의 하는 말을 자기도 모르면서 예수님과 모세와 엘리야를 위하여 초막 셋을 짓고 위에 있는 것이 좋겠다고 했다 ( 9:33).
·         예수님이 십자가에서 죽으시기 전날 감람산에서 기도하실 때에, 베드로와 야고보와 요한에게 예수님과 함께 깨어 기도할 것을 명하셨으나, 그들은 잠이 들었다 예수님은 제자들 중에서도 특별히 베드로에게 말씀하시기를 너희가 나와 함께 동안도 이렇게 깨어 있을 없더냐"”하셨다 ( 26:40-41, 14:37). 베드로는 시험에 들지 않게 기도하지 않다가, 결국은 예수님을 번이나 부인하였다 ( 26:69-75, 14:66-72, 22:54-62, 18:16-18,25-27).

ㄷ.  후에 그는 베드로전서에서 3번이나, 정신차리고 근신할 것을 명하였다 (벧전 1:13, 4:7, 5:8)

2. 깨어 있음의 의미

ㄱ.  하나님께서는 깨우시기도 하시고 ( 50:4, 4:1), 취하고 잠들게도 하시는데 ( 51:39,57), 우리의 자고 깨는 것을 지탱하시는 분이시다 ( 3:5). 우리의 깨어 있음을 유효하게 하시는 분이 하나님이시다 ( 127:1).

ㄴ.  깨어남은 종종 깨달음의 시간이 되었다.
·         벧엘에서의 야곱 ( 28:16) – “여호와께서 과연 여기 계시거늘 …”
·         일천번제를 드린 후에 솔로몬 (왕상 3:15)
·         예수님과 마리아에 대해 천사에게 분부받은 요셉 ( 1:24)
·         변화산에서 예수님의 영광을 보게 베드로와 제자들 ( 9:32)

ㄷ.  깨어 있음은 낮과 빛에 거하여 올바로이 의를 행하며, 근신하는 것을 나타낸다 (살전 5:6-8, 5:8-14, 고전 15:34, 벧전 1:13). 자기의 부끄러움을 보이지 않는 것이다 ( 16:15). 마귀의 시험에 들지 않게 되는 것이다 ( 26:41, 14:38, 딤후 2:26). 믿음에 굳게 서는 것이다 (고전 16:13).
·         노아는 취하여 자다가 부끄러움을 보였다 ( 9:20-27)
·         삼손은 기생 들릴라의 품에서 자다가 머리털을 밀리우고 힘을 잃었다 ( 16:19)
·         나발은 취한 중에 다윗과 그의 사람들을 푸대접하였고, 결국은 죽게 되었다 (삼상 25:9-11,37)

ㄹ.  깨어 있음은 게으르지 않고 근면하고 충실하게 일을 하는 것을 뜻한다 ( 6:9-11, 13:34, 16:27, 20:31)
·         근신하고 절제하는 것이 감독과 집사의 조건이다 (딤전 3:2,11, 1:7-8, 2:2,3,6)
·         깨어 있음은 싸울 준비자세를 갖는 것이다 ( 8:4, 5:12, 21:7, 살전 5:8). 마귀와 대적할 준비자세를 갖춘 것이다 (벧전 5:8).

ㅁ.  깨서 기도해야 한다 (벧전 4:7, 6:18, 26:38-40, 14:34-38, 21:36, 4:2).

ㅂ.  깨어 있음은 마지막 때를 준비하는 것이다 ( 24:42-44, 25:1-13, 13:33-37, 12:35-40, 21:36, 13:11, 벧전 1:13, 4:7, 3:3)
·         주인이 기뻐하실 일을 하며 ( 24:45-51, 25:1-13).
·         주인이 언제 오실 모르므로, 항상 대기하고.
·         사랑하는 , 예수님의 음성을 들을 준비된 마음으로 ( 5:2)

ㅅ.  깨어남은 생명이 있음을 가리키고 ( 2:19, 3:2), 궁극적으로 깨어남은 부활할 것을 나타낸다 ( 26:19, 12:2).

3. 궁극적으로 예수님은 우리들을 죽음에서 깨우셔서 부활하게 하실 것이다.

ㄱ.  복음서에는 예수님께서 죽은 자를 다시 살리시는 기록이 나와 있다.
·         회당장 야이로의 12세의 딸을 살리심 ( 9:18-26, 5:21-43, 8:40-56): “달리다굼 (소녀야, 내가 네게 말하노니 일어나라)”.
·         나인 과부의 아들을 살리심 ( 7:11-17): “청년아 내가 네게 말하노니 일어나라
·         나사로를 살리심 ( 11:1-44): “나사로야 나오라

ㄴ.    모두, 예수님은 죽은자를 불러 일으키셨다.
·         죽은 자들이 예수님의 음성을 들을 때가 지금이고, 듣는 자는 살아나리라고 하셨다 ( 5:24-25). 예수님께 속한 , 진리에 속한 자는 예수님의 음성을 듣는다 ( 10:27, 18:37)

ㄷ.  하나님은 죽은 자를 자와 같이 여기시는 분이시다.
·         하나님은 자의 하나님이시고, 하나님께는 모든 자가 살아 있다 ( 22:31-32, 12:26-27, 20:37-38).
·         하나님은  없는 것을 있는 같이 부르시는 분이시다 ( 4:17). 그렇게 죽은 자를 살리시는 분이시다.
·         하나님은 부활의 능력이 있으신 분이시다 ( 8:11, 고전 6:14, 1:20) – 예수님의 부활이 우리도 부활하게 하실 것을 증거한다.


ㄹ.  심판주로 오실 때에 우리를 죽음에서 불러내실 것이다 (고전 15:51-52, 살전 4:1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