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unday, May 25, 2014

고린도후서 7장 5~16절

고린도후서 7 5-16

1. 본문의 정황 (:5-6)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사정을 살피고 회개를 권하기 위해 디도를 보냈었다.  바울이 드로아에서 복음을 전하면서 디도를 기다렸으나 소식이 늦어지자 (고후 2:12-13), 마음이 편치 못하여 마게도냐로 갔다. 그런데 마게도냐에서 디도를 만나 고린도교회의 회개의 소식을 듣고, 큰 기쁨을 얻게 되었다.

2. 회개를 권하는 자의 마음

. 바울은 책망을 하면서도 엄하게 교회를 대하는 것을 즐기지 않고, 오히려 그들의 애통함에 동참하여 같이 애통하는 마음을 가졌다 (:8, 고후 2:4). 고린도교회가 근심하는 것에 대하여 바울이 기뻐하지 않았다 (:9). (부모가 잘못을 저지른 자녀를 책망하면서도 그 사실에 대하여 아픈 마음을 갖는 것과 같다.)

. 바울을 기쁘게 한 것은, 그 책망을 듣고 순종하여 고린도교회가 회개하게 되었다는 것이었다 (:7,9,15).

. 일단 회개한 후에는 다시 잘못했던 것을 되새기지 않고, 서로간에 간절한 사랑의 관계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12). 바울은 자기의 책망이 고린도교회의 유익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을 강조하였는데, 거기에 합당하게 고린도교회는 바울의 책망을 즐겁게 받아들여 순종하였다. 그러는 과정에서 고린도교회는 자기들이 바울을 향하여 간절한 사랑이 있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런 것들이 바울에게 위로와 기쁨이 된 것이었다 (:13,15).

. 더불어, 바울은 고린도교회를 책망하는 동안에도 그들이 회개할 것에 대한 소망을 잃지 않고, 오히려 그들의 회개할 것에 대하여 디도 등에게 자랑까지 하였다 (:14). 고린도교회가 잘못하였을 때에도, 바울의 그들을 향한 태도는 신실함으로 일관하였던 것이다.  (일반 사람들이 다른 사람을 책망할 때에 책망듣는 사람이 얼마나 나쁜 가를 증명하려 하는 것과 얼마나 대조가 되는가!)

3. 회개하는 자의 모습

.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 (:9-11)

  * 세상의 근심 사람이 어리석게 하나님을 두려워 함이 없이 세상의 헛된 것으로 즐거움을 삼는 것이 세상의 낙이라면, 그런 헛된 낙이 없어지고 고통이 오는 것으로 인해 낙망해 하는 것이 세상의 근심이다.

    * 반대로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근심은 죄로 인해 하나님의 은총에서 멀어졌음을 애통해 하고 하나님의 심판을 두려워하는 것이다이런 근심이 회개를 이루는 것이다 (:10). 이런 마음이  하나님이 찾으시는 상한 마음” (contrite heart)이다 (51:17, 57:14-15, 66:2). 그러므로 회개는 하나님을 두려워함이 없이는 할 수 없는데, 하나님을 두려워 할 수 있는 것은 하나님께 사유하심이 있다는 것을 이미 아는 자가 할 수 있다 ( 130:4). , 이미 하나님의 은혜를 받고 믿은 자가 회개할 수 있다.

    * 회개에는 첫째 죄를 인정하고 자백하고 사죄함을 구함이 있어야 하고 (요일 1:9-10), 둘째 자기 마음대로의 길과 생각을 버림이 있어야 하고, 셋째 하나님께로 돌아옴이 있어야 한다 ( 55:6-9).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육신을 입고 사는 일생 동안 계속 되는 것이다.

. 회개의 일곱가지 특성 (:11) – 여기에 나열된 일곱가지 특성은 원어에 αλλά (αλλος의 복수형, “another of the same sort” (“다른 보혜사”( 14:16)라는 표현에 나오듯이) ßà ετέρως (another of a different sort) (“다른 복음”( 1:6-7)이라는 표현에 나오듯이))라는 접속사로 연결되어 있는데, 이 일곱가지가 회개의 여러 면을 표현하지만 서로 합하여 있음을 가리킨다.

  * 간절 (σπουδην, 스푸덴) – 무관심이나 등한시 여김의 반대되는 말; earnest concern
  * 변명 (απολογιαν, 아폴로기안) – (죄에 대한 변명이 아니고)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비는 태도; apology
  * (αγανακτησις, 아가낙테시스) – 죄와 죄를 지은 자신에 대한 분노; indignation
  * 두려움όβον, 포본) – 하나님의 심판을 두려워 함; phobia, fear
  * 사모 (επιπόθησιν, 에피포데신) – (고쳐지기를) 갈망함; desire, longing
  * 열심 (ζηλον, 젤론) – (회개의 증거를 보여주기 위한) 열정; zeal
  * 벌함 (εκδίκησιν, 엨디케신) – 범죄한 것에 대한 댓가를 치르려 함; revenge

. 철저한 회개의 예: 다윗 (삼하 12:1-14, 51): 밧세바를 범하고 우리아를 죽인 후에 나단 선지자가 와서 책망할 때, 다윗은 즉시 자신의 범죄함을 인정하고, 용서를 빌었다. 그의 회개의 기도에는 하나님의 공의로우심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함이 있고 ( 6:1-3), 자기 범죄에 대한 철저한 애통해함이 있고 ( 6:6, 51:17), 죄를 회개하되 철저히 회개하고 온전히 정해지고자 구하는 간절함이 있고 ( 51:5-12), 그렇게 회복시켜 주실 하나님을 향한 소망이 있었다 ( 6:9, 51:17).

4. 회개하지 않는/못하는 자의 모습

. 바리새인 ( 18:9-14) – 자기를 의롭다고 믿고 스스로를 높이고, 다른 사람을 멸시하는 사람 자기 죄를 인정하지 않는 자는 하나님을 거짓말하는 자로 만드는 죄를 더한다 (요일 1:10)

. 가인 ( 4:1-15) – 죄를 깨닫게 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을 저버리고 (:9), 자기가 당할 죄벌의 중함만 불평하는 사람

. 에서 ( 25:34, 12:16-17) – 하나님의 축복을, 즉 하나님을 경홀히 여기다가 회개의 기회를 아주 잃어버린 사람.

. 사울 (삼상 15:1-31) – 하나님의 명령을 온전히 순종하지 않은 것에 대해 책망을 들을 때에, 회개하지 않고, 오히려 변명을 대고 (:15, 21), 백성 앞에서 자기 체면 세우는 것을 하나님께 상한 심령으로 엎드리는 것보다 중히 여긴 사람 (:30).

. 솔로몬 (왕상 11:1-13) – 하나님의 경고를 수차 무시하고 돌이키지 않은 사람.


. 가룟 유다 ( 27:3-5, 1:18-19) – 죄에 대한 후회는 있으나, 하나님께 사죄함을 구하지 않고, 스스로 멸망의 길을 택한 사람.

Sunday, May 11, 2014

Jesus washes His disciples' feet

Jesus washes His disciples’ feet
(a sermon delivered to the pre-dawn service on October 2, 2012)

Bible verses: John 13:1-20

These verses record that Jesus washed His disciples’ feet before eating the Passover supper, before His crucifixion.  Beasley-Murray stated that this event is an action parable in which Jesus demonstrated His obedience and humility by action.  Yes, washing His disciples’ feet was an action of humility; underlying that action allegorically was an even bigger action of humility.  In these verses, we can examine the motive of His humility, the practice of His humility, and the result of His humility.

The motive of His humility in washing His disciples’ feet appears in verses 1 and 3. Verse 1 says that Jesus knew that the hour had come for Him to return to His father and Jesus loved His own people, even to the end.  His action of humility was an expression of His love for His people. And, in verse 3, “Jesus knew that the Father had put all things under His power, and that He had come from God and was returning to God,” as He washed His disciples’ feet. Jesus knew that He is the Second Person of the Triune God, the Son of God, who has all the power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As God, He wanted to show His disciples Who He is.  In Matthew 11:29, in describing Who He is, Jesus did not choose words of glory, power and honor, but just said that He is “gentle and humble.”  Of all the attributes that can be ascribed to Jesus, He chose gentleness and humility to describe Himself. Revealing the humble God to His disciples was an expression of Jesus’ love for them. When someone with no power lowers himself, he cannot truly be said to be humble; he is just recognizing his position. When One with all the power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lowers Himself, that is a true expression of humility.

How did Jesus express His humility? In Philippians 2:6-8, Jesus, “being in very nature God, did not consider equality with God something to be used to His own advantage; rather, He made Himself nothing by taking the very nature of a servant, being made in human likeness. And being found in appearance as a man, He humbled Himself by becoming obedient to death – even death on a cross!” Jesus’ humility was demonstrated by His obedience in becoming a man and dying on the cross and this humility was expressed allegorically in the event of John 13.

In verse 4, Jesus “got up from the meal, took off His outer clothing, and wrapped a towel around His waist.” An outer clothing of His day was ankle-length, whereas an inner garment was somewhat shorter, coming down to the knees only.  A servant of the day would wear a short garment as his outer clothing. When Jesus took off His outer clothing, He revealed His servanthood.

The word used for “took off” is τίθημι (tithḗmi) in the original language of Greek and was not the word typically used to denote the action of taking off one’s clothing.  The usual word for taking off clothing was αποτίθημι (apotithḗmi), but John chose to use the word τίθημι (tithḗmi) instead.  The word τίθημι (tithḗmi) is used elsewhere in the Bible in the sense of laying down one’s life (John 10:18) or burying a dead body (John 19:41-42, Acts 13:29). In John 10:18, Jesus said that He has the authority to lay down His life and to take it up again. The word τίθημι (tithḗmi) has the meaning of laying down one’s life. When Jesus took off His outer clothing in John 13, He was in a way implying His imminent death.

After Jesus took off His outer clothing, He then washed His disciples’ feet. What of Jesus washes and cleanses us? First, His words make us clean. In John 15:3, Jesus said, “You are already clean because of the word I have spoken to you.” And in Ephesians 5:25-26, Jesus gave Himself up to make the Church holy, “by the washing with water through the word.” Second, His blood makes us clean. “The blood of Jesus purifies us from all sin.” (I John 1:7). “How much more, then, will the blood of Christ, who through the eternal Spirit offered himself unblemished to God, cleanse our consciences from acts that lead to death, so that we may serve the living God!” (Hebrews 9:14).

After washing His disciples’ feet, Jesus then “put on” His clothes. The Greek word used for “put on” is λαμβανω (lambano), which is not the usual word used for putting on clothes. This is the word Jesus used in John 10:18, when He said He has the authority to “take up His life” again. His act of “putting on” (λαμβανω (lambano)) His clothes implied that His death was not going to end with a simple death by shedding of blood, but was to be triumphant with resurrection.

Jesus’ washing of His disciples’ feet was certainly an expression of His humility.  Even greater humility was His obedience unto death on the cross, shedding blood on the cross and then resurrecting on the third day.  His death and resurrection were implied in His act of “taking off” (τίθημι (tithḗmi)) and “putting on” ((λαμβανω (lambano)) His clothes to wash His disciples’ feet.

His humility produced great results not only for His disciples of the day, but also for us of the present age. I will list but two of them here.  First, in John 13:8, Jesus told Peter, “Unless I wash you, you have no part with Me.” Because Jesus washed Peter and the other disciples, they got to have a part with Jesus. As Jesus said not all of them were clean, Judas Iscariot was excepted. To have a part with Jesus means to have an inheritance with Him. “We have obtained an inheritance in Him, being predestina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Him who works all things after the counsel of His own will” (Ephesians 1:11).

In Genesis 13:17, as God promised Abraham his inheritance, He told him, “Go, walk through the length and breadth of the land, for I am giving it to you.” In Deuteronomy 11:24, God made a similar promise to the Israelites, “Every place where you set your foot will be yours.” The place where we set our foot of faith, with the feet made clean by Jesus, will be our inheritance.  Within our inheritance, we have the privilege of enjoying the victory and the power of Jesus, as our own. God placed all things under Jesus’ feet and appointed Him to be head over everything for the church (Ephesians 1:22). Jesus has authority over all things and we, by virtue of being His body the church, are likewise over all things.  That is because we are His body, His feet. As God promised in Romans 16:20, “The God of peace will soon crush Satan under your feet,” we will have the power to destroy Satan under our feet.

Second, in John 13:15, Jesus said, “I have set you an example that you should do as I have done for you.” Having been washed by Jesus, we need to follow His example.  There are two things for us to do in following His example. One is that although we have the power and authority given to us by Jesus, we need to lower ourselves and be humble. Jesus, being in very nature God Himself, did not hesitate to humble Himself to take on the shape of the servant and obey unto death. Likewise, even though empowered, we should not hesitate to be His servants and serve Him humbly. We should remember the humility of John the Baptist, who said that he was not worthy to untie Jesus’ shoes. We should ponder the humility of a certain sinner woman, who loved Jesus to wet His feet with her tears, washed them with her hair and poured precious perfume on them.

Another example that Jesus set for us to follow is, as Jesus stated in verses 16 ~ 20, that just as Jesus did the work of the One who sent Him, we should likewise do the work of Him who sent us. What Jesus did was to reveal to people God the Father who sent Him, to demonstrate the love and character of God the Father, and to lead people into His wings of grace. He then sent His disciples to do the same work and today is sending us to do likewise. In Isaiah 52:7, it is declared, “How beautiful on the mountains are the feet of those who bring good news, who proclaim peace, who bring good tidings, who proclaim salvation, who say to Zion, ‘Your God reigns!’”  Our feet that have been cleansed by Jesus should be such beautiful feet that bring the good news and proclaim how God loves us and declare that He reigns.  Our feet should do the work that expands His reign and His kingdom.


Dearly beloved, have you been made clean by Jesus’ words and by His blood?  If so, rejoice in the belief that you have an inheritance in Jesus. And, do the work that Jesus is sending you for, thus serving one another in the church in humility and bringing the good news of God’s love to those outside the church, so that your feet may be the beautiful feet that participate in expanding God’s kingdom. Let this morning be one with a new determination to follow Jesus’ example in humility and service.

고린도후서 6:11-7:4

고린도후서 6 11 ~ 7 4

구절에서 사도 바울은 고린도교회를 향한 그의 사랑이 얼마나 애틋하였는 지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사랑을 입은 성도들은 어떤 반응을 보여야 하는 지에 관해서도 쓰고 있다. 사도와 교회의 관계는, 오늘날 말씀의 사역자와 성도들과의 관계가 어떤 모습을 가져야 하는 지를 보여준다.

1. 사도의 고린도교회를 향한 사랑 (6:11-13, 7:2-4)

. 사도가 교회에 가해하지 않은 것들 (7:2)
  * “불의” (αδίκημα (아디케마), wrong/injury/misdemeanor) – 이것은 피해자를 상해하여 상처를 주는 것을 말한다. 일반 사회 법에 저촉되는 잘못이다 ( 18:14).
  * “해롭게” (φθείρω(프쎄이로), corrupting) – 잘못된 가르침, 또는 미혹하게 함으로 마음과 신앙을 더럽히고 부패시키는 것을 말한다 (고전 3:17, 15:33, 고후 11:3, 4:22, 19:2)
  * “속여 빼앗은” (πλεονεεκτέω(플레오넼테오), defrauding, taking advantage of (someone)) – 욕심을 내어 남의 소유를 빼앗는 것을 가리킨다 (살전 4:6, 고후 2:11, 12:17-18)
  * 사무엘도 말년에 자기의 사역을 되돌아보면서, 이스라엘의 사사와 선지자로 섬길 때에 누구를 속이거나, 압제하거나, 소유를 빼앗지 아니한 것에 대하여 결백을 나타내었다 (삼상 12:2-5).
  * 광야에서 고라의 무리 250명이 모세와 아론의 지도권에 도전할 , 모세는 자신이 사리사욕하지 않은 것으로 하나님께 항소하였다 ( 16:15). 사역자가 사리사욕않고 청렴결백하는 것은 기본적인 요구사항이다.

. 사도는 교회를 향해 입을 열고 마음을 넓히었다 (6:11).
  * 바울이 교회를 위해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는 것의 척도는 그것이 교회에 유익이 되는가 였다 (고전 6:12, 10:23). 유익이 되는 말씀, 복음은 공적인 장소에서나 사적인 자리에 상관 없이, 상대자가 유대인이나 이방인이나 상관없이 거리낌이 없이 전하였다 ( 20:18-21).
  * 그리고 복음의 비밀을 담대히 전하는 일에 계속 입을 벌릴 것을 위해 기도를 부탁하였다 ( 6:19-20).
  * 이와 같이 사역자가 입을 여는 것은 말씀을 전하기 위해서 인데 ( 5:2, 8:35, 10:34), 이렇게 말씀 사역을 위해 입을 열어 주시는 분은 하나님이시다 ( 3:27, 24:27, 29:31, 33:22).
  * 마음이 넓어지는 것은 덕을 행한 결과를 보고 기쁨으로 차는 상태인다. 말씀을 전하여, 열방이 주님께로 돌아오는 것을 보는 사도의 마음인 것이다 ( 60:4-9(5)).
  * 그리고 마음을 넓히는 것은 좋은 결과를 위해 입을 열어 가르치되, 끝까지 인내하고 포용하는 것이다. (수산나 웨슬리의 이야기 - 19자녀 – “똑같은 것을 20번을 가르쳐도 언짢아 않는 것은, 알기까지 가르치지 않으면 19 가르친 것은 무효가 되기 때문이다.”)

. 사도는 교회를 자녀같이 사랑하였다 (6:13, 7:3-4).
  *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잘못한 (바울의 사역에 대해 감사하지 못하고, 오히려 거짓사도들의 말을 듣고 바울을 비판한 ) 지적하되, 여린 마음으로 지적하지 않는 같이 지적하고, 정죄하지 않았다 (7:3). 부모도 자녀들을 책망할 자기 분풀이로 자녀를 노엽게 하고 낙심케 해서는 된다 ( 6:4, 3:21). (Calvin: “As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gall and vinegar, so there is also between that condemnation, by which we harass a man in a spirit of hatred, with a view of blasting him with infamy, and, on the other hand, that, by which we endeavor to bring back an offender into the right way, that, along with safety, he may in addition to this regain his honors unimpaired.”)
  * 바울은 고린도교회와 함께 사는 아니라, 필요하다면 함께 죽기까지라도 마음이 있었다 (7:3).
  * 고린도교회가 많은 잘못을 하는 가운데도, 바울은 그들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고 오히려 자랑스럽게 여겼다 (7:4). 비록 잘못하기는 했으나, 그래도 고린도교회는 하나님의 교회이고 성도의 무리라는 것을 잊지 않았고 (고전 1:2, 고후 1:1), 교회에 대해 자랑해 만한 일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바울은 기쁘게 자랑하였다 (, 고후 8:24). 고린도교회에 대한 사랑이 너무 커서, 그들의 잘못은 쉽게 용서가 것이다 (벧전 4:8).
  * 비록 바울 자신은 온갖 환난을 당하고 있었으나, 고린도교회가 회개하고 믿음에 올바로 서게 되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마음에 위로가 가득하고 기쁨이 넘치었다 (7:4-7).

2. 사랑받은 자의 성결/거룩 (6:13-7:1)

. “사랑하는 자들아” – 여기에 바울의 권고의 대상이 사람들은 신약에서는 αγαπητός (아가페토스), 구약에서는 יְדִיד (Dowd, 도우드)라는 말로 불렸는데, “하나님의 사랑을 입은 자란 뜻이다. 이 사랑의 내용은:
  * 첫째, 하나님께서 우리의 아버지가 되시고 우리는 그의 자녀가 되리라는 약속(6:18, 1:10, 43:6, : 삼하 7:14)에 담겨 있다.
  * 둘째, 하나님께서 우리 가운데 거하셔서 우리의 하나님이 되시고 우리는 그의 백성이 되리라는 약속(6:16, 26:11-12, 37:27)에 담겨 있다.
        -- 그래서 우리를 하나님의 성전이라 일컬었다 (6:16, 고전 3:16-17, 6:19).
        -- 그리고 하나님은 임마누엘이시다 ( 1:23)

. 사랑을 입은 자에게 첫째로 요구되는 것은 하나님을 두려워하는 것이다 (7:1, 12:28-29).

. 그리고 하나님을 경외함이 동기가 되어, 구별되고 경건한 삶을 사는 것이다 (6:14-7:1).
  * 하나님의 사랑과 축복의 약속에는, 우리가 그 앞에서 완전하게 행하라는 요구가 곁들여있다 ( 17:1, 왕상 8:61).
  * “육과 영의 온갖 더러운 것에서 자신을 깨끗게 하라” (7:1).
        -- 바울은 이미 우리 몸이 하나님의 성전인 것을 근거로 음행을 피할 것을 가르친 바 있다 (고전 6:18-19).
        -- 바울은 본문에서 거짓사도들의 잘못된 가르침과 우상숭배하는 것에서 격리되어 나올 것을 다시 강조하고 있다 (6:14-16, 14:8). 영의 일은 시험하여 보고 분변하여야 한다 (요일 4:1). (: 구약에서 악한 부류, 비류들을 가리켜 벨리알의 사람이라고 표현했는데 ( 13:13, 19:22, 20:13, 삼상 1:16, 2:12, 10:27, 25:17,25, 30:22, 삼하 16:7, 20:1, 23:6, 왕상 21:10,13, 대하 13:7), 벨리알이란 칭호는 그런 악한 부류의 아비 즉 사탄을 가리킨다.)
        -- 성막에서 섬기는 레위인들이 성별되어야 했다면 ( 52:11), 하나님의 성막 그 자체인 우리는 얼마나 더 성별되어야 하는가?
  * “믿지 않는 자와 멍에를 같이 하지 말라” (6:14, 22:10, 19:19).
        -- 믿지 않는 자와 도무지 사귀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고전 5:10, 17:15-16).
        -- 그러나, 믿기 때문에 포기하여야 할 직업(이민 후 liquor store를 한 목사님), 사교생활, 심지어는 대인관계/가족관계도 있을 수 있다 ( 10:34-39). 잘못된 사교가 계속 되면, “의로운 심령이 상하게 된다 (벧후 2:6-8).
        -- 그래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부르시면서 우상 섬기던 땅인 ( 24:14-15) 갈대아 우르의 본토, 친척, 아비 집을 떠나라 하셨다 ( 12:1, 7:2-3).


. 셋째로, 올바른 말씀을 전하는 사역자 (바울과 같은)에게 마음을 넓히고, 마음으로 영접하라고 권면한다 (6:13, 7:2). 말씀의 사역자들이 근심함이 없이, 즐거움으로 사역하게 하는 것이 우리에게 유익하다 ( 13:17, 6:6, : 고전 9:1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