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Wednesday, November 26, 2014

Christian thanksgiving

About 100 years after Isaiah prophesied about the destruction of Israel and surrounding countries in Isaiah chapters 13~24, Israel/Judah was destroyed by Babylon. In the next 2 chapters of Isaiah, the prophet was already looking ahead to the Lord's redemption that would deliver His people from exile in Babylon and was proleptically praising Him. His was anticipating a future event that had not yet happened and in faith was able to praise the Lord. "Faith is the substance of things hoped for, the evidence of things not seen" (Hebrews 11:1). To the prophet, the future event taken in faith was as real as the present, because it was based on the Lord's promise.

Apostle Paul teaches us, "In every thing give thanks: For this is the will of God in Christ Jesus concerning you." (I Thessalonians 5:18). How is it possible for a Christian to be thankful in EVERY THING? Bad things happen to Christians just as much as to non-Christians, or perhaps even more. A Christian gets sick, sometimes of a seemingly incurable illness. A Christian gets into an accident, both small and large. A Christian encounters a family death. A Christian may be laid off from his work, or his business may go bankrupt. A natural disaster like a tornado, an earthquake, or a flood may hit a Christian as much as a non-Christian. Yet the commandment from the Lord is that we give thanks in everything.

We can give thanks even in the valley of the shadow of death, when we believe that "all things work together for good to them that love God, to them that are called according to His purpose" (Romans 8:28). When we confess that ALL THINGS work for our good, we must surely mean that both good and BAD things work for our good. Our faith must be that with our LORD in control, even a lay-off, even an illness, or even an accident will work for our good. That's why and how we are able to be thankful and praise the Lord in every thing.

In October 1946, there was a Communist uprising in the South Korean city of Yeosu. During the week-long rebellion, the Communists were in control of the city and executed many Christians in the name of the people.  Among those martyred were two sons of Rev. Yang Won Sohn (손양원 목사님); their crime was that in the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they were respectively attending, they were never bashful about witnessing Jesus. They were accused and killed by one of their classmates. After the rebellion was put down, a funeral service was held for the two young men.  At the service, Rev. Sohn offered ten reasons why he was thankful:
    (1) that two martyrs came out of a family of sinners,
    (2) that, among all the saints, such treasures of saints were given to him as sons,
    (3) that of his 3 sons and 3 daughters, he was able to offer up his first son and second son to God,
    (4) that when it would have been precious to have one martyr as a son, he now had two sons as martyrs,
    (5) that when it would have been a blessing to die a natural death as a Christian, his two sons were shot to death while proclaiming Jesus as the Lord,
    (6) that his elder son, who was preparing to go to the US to study abroad, instead went up to Heaven, incomparably better than the US,
    (7) that God gave him the heart of love to forgive the executioner of his sons and adopt him as his own son,
    (8) that he believed that numerous people will come to the Lord on account of his two sons' martyrdom,
    (9) that the Lord Jesus Christ gave him the joy and faith to seek the above 8 truths and God's love even in a very difficult situation, and
    (10) that God blessed him beyond what he deserved.
With these notes of thanks, he also made an offering of thanks amounting to 125 times his monthly salary.  On the envelope of the offering, he simply wrote "In gratitude for the martyrdom of two sons. 10,000. Yang Won Sohn." Indeed, with Rev Sohn, nicknamed the atomic bomb of love, even the death of his two eldest sons worked together for his and their good. As he thankfully declared, he not only adopted the executioner of his sons, but also raised him to become a minister of God.

Lord, let me learn from Jesus and from His witnesses like Rev Sohn and praise and thank You in everything.  Even when seemingly bad things are happening to me, let me have the faith and trust in You to continually thank you in joy. Let me be able to anticipate Your ultimate victory and redemption for me and thank you proleptically.  In Jesus' name, Amen.


Saturday, November 15, 2014

이사야서 26장

이사야 26 (Proleptic Praise II)

25장에 이어 26장에서 이사야 선지자는 이스라엘 백성이 고난을 당하는 중에도 구원이 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며 그를 찬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이사야의 예언이 있은 100여년 후에 유대는 바벨론에 의해 멸망되었는데, 바벨론 유배 생활을 하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슬픔과 낙망에 엄습되었을 때에라도 (: 137) 어떤 믿음을 가지고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야 하는지를 미리 가르치고 있다특히 26장에서는 하나님의 백성과 불신자 사이에 심판과 고통에 대한 반응과 결과의 차이가 어떠한 지를 예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기다림의 찬양을 노래로 가르치게 해서 자손들에게도 하나님께 대한 소망을 두로록 것이다 (26:1, : 31:19-22). 그런 면에서 그리스도인으로 고난을 겪는 현재의 우리에게도 교훈을 주고 있다.

1. 찬양의 내용 (:1-7)

ㄱ.  하나님이 구원으로 성과 곽을 삼으시는 견고한 성읍이 있음을 (:1)

n  하나님이 구원이시고 구원자이시며 ( 12), 우리를 그의 구원의 손에서 뺏어갈 자가 없다 ( 8:33-39)

ㄴ.  하나님이 우리를 () 지키는 의로운 나라 칭하심과, 그의 성에 들어가도록 문을 열어 놓으심을 (:2, 3:7-8)

n  하나님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의롭다 하시는데 ( 3:30, 3:8), 믿음조차 하나님이 선물로 주시는 것이다 ( 2:8)

ㄷ.  우리의 믿음의 대상이신 하나님은 구원의 섭리가 변하심이 없으시니, 우리의 믿음도 그와 같이 심지가 견고하여야한다 (:3-4).

n  하나님은 구원의 계획을 변개하시는 분이 아니시다 ( 23:19, 1:17).

n  하나님은 우리를 평강에 평강으로 인도하신다 (:3, 14:27)

n  하나님은 영원한 반석이시다 (:4) – 하나님이 반석이시라 함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구원을 견고하게 하시고 우리의 피난처가 되시는 것을 가리킨다 ( 18:2,46, 62:2,6-7, 71:3, 95:1, 17:10)

n  심지가 견고함 마음이 안에 거하고 영원히 그를 의뢰함.
KJV: “Thou wilt keep him in perfect peace, whose mind is stayed on thee: because he trusteth in thee.

ㄹ.  하나님은 교만한 자를 낮추시고 궁핍한 자를 돌아 보신다 (:5-6, 1:46-55 – 예수님의 성육신의 소식을 들은 마리아의 찬양이 바로 이런 내용이었다).

ㅁ.  하나님은 의인의 길을 평탄케 하신다 (:7)

n  우리는 우리의 가는 길을 우리 마음대로 못하고( 10:23), 마음의 경영한대로 일이 이루어질 지도 모른다 ( 4:14-15, 16:1, 19:21).

n  그러므로 더욱, 까마기 새끼나 ( 147:9) 참새까지도 ( 10:29) 돌아 보시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길이 형통케 하실 것을 의지하여야 한다 ( 10:30-31).

2. 의인과 악인의 대조 (:8-19)

ㄱ.  환난 날에 의인의 반응 (:8-9,13,16-17)

n  주의 심판하시는 길에서 우리가 주를 기다렸사오며” (:8,13,16-17)

·         하나님께서 우리의 길을 평탄케 하시지만, 당장에 우리 앞에 보이는 것이 고난과 어려움일 때라도(이방의 압제자 밑에서), 하나님을 기다리고 사모하여야 한다.

·         재앙도 하나님께서 주시는 것인 것을 인정 ( 3:6, 1:21, 7:9)

·         13:15(NIV), 19:25-27, 23:4

n  주의 기념 이름을 사모한다 (:8) – , 주께서 이미 하신 일과 말씀을 기억한다.

·         하나님/예수님과 그의 구속 사역을 기억 3:15, 13:9, 5:15, 7:19, 15:15, 24:18,22, 4:7, 12:1,7, 44:21, 46:8-9, 16:63, 22:19, 고전 11:24, 딤후 2:8

·         그의 말씀을 기억 4:4, 24:6, 15:20, 1:17

·         그의 행사를 ( 우리를 인도하시고 단련하신 일들을) 기억 8:2,18, 9:7, 25:17, 32:7

n  사모함은 인격적으로 항상하는 사모함이다 (:9)

·         영혼 (soul, נפש (nēphĕsh)) 중심 (spirit, רוח (rūăch)) 모두 , 마음과 뜻을 다하여 ( 6:5, 22:37)

·         밤에도, 아침에도 , 항상

n  환난 중에 의를 배운다 (:9, 12:11) – , 우리를 사랑으로 징계하시고 우리로 거룩함에 참여하게 하시는 하나님 아버지와 우리의 관계를 배운다 ( 12:5-10).

ㄴ.  환난 날에 악인의 반응 (:10-11)

n  악인은 의를 배우지 않는다 (:10) – 하나님의 손의 재앙을 보는 바로는 오히려 강퍅하여졌다 ( 7:13 ).

n  오히려 정직한 땅에서도 (, 하나님과 그의 법도가 이미 선포된 곳에서도 76:1-2) 불의를 계속 행한다 ( 1:32).

n  하나님의 하시는 일을 보면서도 돌아보지 아니한다 (:10-11, 1:18-20, 6:9-10, 13:11-15).

ㄷ.  악인의 결국 (:11,14)

n  결국은 회개하지 못하고 ( 12:17), 하나님의 진노의 불에 사를 것이다 ( 32:12, 20:26, 22:19-20).

n  악인의 결국은 영원한 죽음과 영벌이다 (:14, 25:46)

ㄹ.  의인의 결국 (:12,15-19)

n  주님이 주시는 평강 (:12, 14:27)

n  주께서 의인의 일을 이루신다 (:12, 1:6, 2:13, 딤후 3:17, 13:21).

n  하나님의 나라가 확장된다 (:15, 12:23-24).

n  스스로의 부르짖음이나 노고가 구원을 가져온 것이 아님을 고백 (:18). 생애 받는 고통은 임산부의 고통보다 것이, 임산부는 산후에는 낳은 아이를 인하여 모든 고통을 잊고 즐거워 하나 ( 16:21), 인생이 땅에 사는 동안 겪는 고통은 하나가 지나가면 다른 하나가 와서 죽기까지 계속되기 때문이다. 실로 이생이 전부라면, 믿는 것이 헛된 것처럼 보일 정도이다 (고전 15:14).

n  육체를 갖고 사는 동안에는 고난과 연단이 계속될 것이지만 ( 8:22), 결국에는  부활의 소망이 있다 (:19). 신자는 이생에서도 생명을 갖고 있으나 -- 그래서 속사람은 날로 새로와 지고 있으나 (고후 4:16) – 지금은 생명이 그리스도와 함께 하나님 안에 감취어져 있어 ( 3:3) 지금은 우리가 없고 ( 8:23-24),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에 우리도 부활하며 우리의 생명이 영광 중에 나타날 것이다 ( 3:4). 그래서 날은 회복의 이다 ( 3:21).

참고: 의인의 환난과 상급

ㄱ.  예수님과 의를 위하여 받는 핍박이 복이 있다 하셨다 ( 5:10-12, 5:41).

ㄴ.  직접적으로 예수님 때문에 받는 핍박은 아니나, “애매히고난을 받아도 하나님을 생각함으로 슬픔을 참으면 아름답다 하셨다 (벧전 2:19). 여기서 애매히 말은αδικως(adikos) wrongfully라는 뜻이고 성경에 벧전 2:19에만 나온 단어이다. 예수님께서 고난의 본을 보이셨고 (벧전 2:21-23), 까닭 없이 시므이의 저주를 들을 때에 다윗은 하나님을 생각하며 참았다 (삼하 16:5-14). 욥의 고난도 기억하자 ( 1:21).

ㄷ.  또는 잘못함을 인하여 징계를 받을 때도 있는데 (벧전 2:20, 12:5-10), 빨리 깨닫고 회개하고 돌이켜야 것이다.

3. 기도의 권면 (:20-21)

ㄱ.  밀실에 들어가라 (:20) – 은밀한 중에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께 기도하라 ( 6:5-6).

ㄴ.  간절히 기도하라 (:16) – 여기에 나오는 기도는 לחש (lăchăsh) muttering, whispering 해당한다. 마치 성령께서 말할 없는 탄식으로 중보하시듯이 ( 8:26), 외식이 없이 우리의 심정을 말없이 토해내는 것이다중언부언해서 하나님을 설득해야 들으시는 하나님이 아니시다 ( 6:7).

ㄷ.  그리고는 하나님의 공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기다리라 (:20-21, : 14:14, 2:1). 기다리는 것이 어려워 보여도, 고난의 때는 잠시일 뿐이고 우리가 장차 누릴 영광에 족히 비교할 없다 (고후 4:17, 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