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aturday, April 19, 2014

고린도전서 - 서론

고린도전서 서론

1. 바울서신들에 관하여

ㄱ.  바울서신들은 다른 편지가 그렇듯이 무슨 학술적이거나 신학적인 이론을 펼치기 위해서 쓴 글이라기 보다는, 사랑하는 성도들에게 흉금을 털어 놓고 이야기하는 양식의 글이다그래서 우리는 바울의 개인적인 면모를 많이 살펴 볼 수 있다.
ㄴ.  대체로 서신들은 수신교회의 어떠한 사정이나 정황, 또는 당면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쓰였기 때문에, 편지가 쓰여질 당시의 상황을 살펴보며 읽는 것이 중요하다. 동시에, 그 당시의 교회가 당면했던 문제들이 지금의 교회도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이기 때문에 현대의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적용이 되는 말씀이다.
ㄷ.  바울서신의 구조
n  인사
n  기원
n  감사
n  본론
n  마지막 인사와 개인적인 문안
ㄹ.  바울은 서신을 그저 한 개인으로 쓴 것이 아니고, “하나님의 뜻을 따라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를 부르심을 입은그리스도의 종으로서의 권위를 가지고 쓴 것을 강조하였다교회의 문제를 다루는 데에 있어서 어떤 개인의 의견을 쓴 것이 아니고, 사도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한 것이다.

2. 고린도

ㄱ.  고린도는 그리스의 본토와 펠로포네서스 반도(또는 아가야라고 함)를 남북으로 연결해 주는 약 4마일의 지협에 위치하였다. 또 동쪽의 사로스만()과 서쪽의 고린도만()을 연결해 주는 요충지에 있어서 육로와 해양을 통한 교역의 중심지였다. 다민족이 섞여 살면서, 각종 문물이 풍성한 가운데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그래서 고린도인이라는 말은 방탕한 사람이라는 말의 대명사가 되었다. : 고전 6:9-11
ㄴ.  고린도는 그리스의 올림픽에 버금가는 고린도 경기대회의 개최지였다.
ㄷ.  고린도 지협의 아크로폴리스 언덕에는 사랑의 여신이라는 Aphrodite의 신전이 있었는데, 이 신전의 1000여명의 여제사장들은 종교적 매춘부와 같았다. 도시는 심히 문란한 생활을 하였다.
ㄹ.  고린도는 로마가 그리스를 점령하는 전쟁을 하면서 기원전 146년에 파괴되었다가, 기원전 46년에 쥴리어스 시저에 의해 재건되어 로마의 식민지가 되었고, 바울 당시에는 그리스의 대부분을 포함한 아가야 주()의 주도(州都)였다.

3. 고린도와 바울

ㄱ.  바울은 2차 전도여행 중 아덴을 떠나 고린도에 이르렀는데 ( 18:1-17) 1년반을 그곳에 거하며 하나님의 말씀을 가르쳤다에베소 다음으로 바울이 가장 오래 거한 도시였다. 바울은 그곳에서 아굴라와 브리스길라와 장막만드는 일로 동업하며 말씀을 가르쳤고, 후에 실라와 디모데가 그 일을 도왔다. 고린도에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들 중에는 회당장인 그리스보와 그 집이 있었다. 후에 유대인들은 바울을 갈리오 총독에게 고소하는데, 갈리오가 그것을 기각하였다. 바울은 이 일후에 소아시아와 수리아 쪽으로 떠났다.
ㄴ.  그 후 아볼로가 브리스길라와 아볼로를 만나 예수님에 대하여 듣고, 아가야와 고린도에 가게 되었는데, 그는 성경에 박식하여 예수님이 그리스도이시라는 것을 유대인들 앞에서 변증하였다 ( 18:24-19:1).
ㄷ.  고후 12:14, 13:1-2등을 보면 바울이 고린도를 최소한 두 번은 방문했는데, 두번째 방문이 언제 일어났는 지는 정확히 알 수 없고 단지 3차 전도여행 중 아가야( 19:21)나 헬라( 20:2)가 언급되는 것을 보아 그 여행 중에 고린도에도 들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4. 고린도전서 서론 (고전 1:1-3)

ㄱ.  송신인
n  사도 바울 바울은 이 서신을 사도의 권위를 가지고 쓴 것이다.
·         사도의 자격 – (1) 하나님의 뜻을 따라 .. 부르심을 입은 (:1). 하나님께서 부르셨다는 증거는, 그 전해지는 말씀이 능력으로 나타나고 (고전 4:19-20, 살전 1:5, 16:20) 우리를 하나님께로 가까이 가게 하는 것이다 ( 13:1-5)
                   (2) 참고: 맛디아를 뽑은 기준 ( 1:22)
                   (3) 사도는 목사나 교사와 구분되고( 4:11), 목사나 교사가 한 지교회를 섬기는 자라면, 사도는 Universal Church에 복음의 가르침을 줄 수 있는 자이다.
·         그리고 사도는 하나님께서 맡기신 일을 충성스럽게 감당하는 자다 (고전 4:1-2)
n  형제 소스데네( 18:17): 고린도의 회당장이던 사람으로, 바울이 갈리오에게 재판받았을 때 유대인들에게 구타당한 사람이었다. , 고린도의 교회가 형제로 인정할 만한 사람이었다.
ㄴ.  수신인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 고린도 교회는 문제가 많은 교회로 온갖 부끄러운 일이 많이 있었는데, 바울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한다문제가 많은 와중에도, 그 교회에는 주님께서 바울에게 환상 중에 말씀하신 것과 같이 ( 18:10), 주님의 백성이 많았기 때문이다. 교회는 거룩하지만 ( 5:24-27) 이생이 사는 동안에는 알곡과 가라지가 섞여 있고 ( 13:24-30), 온갖 종류의 물고기가 한 그물 안에 있다 ( 13:47-50). 그리고 성도들도 죄를 지으며 살고 있다. 참된 교회는 하나님의 말씀이 순전히 전해지고 ( 2:20, 딤전 3:15), 예수님이 세우신 성례가 그 명령대로 집행되어야 한다 ( 28:19, 26:26-28). 또한 교회는 하나가 되어야 한다 ( 4:3-6, 고전 10:16-17).
n  그리스도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 우리가 거룩하게 되는 것은 예수님의 이름을 믿음으로이고 ( 26:18, 고전 6:11), 예수님을 믿을 때 받는 성령 안에서 ( 15:16, 고전 6:11) 이루어지는 역사이다.
n  성도라 부르심을 입은 자들” – 우리가 성도가 되는 것은 우리의 뜻이나 행동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 1:13), 하나님께서 정하신대로 택하신 사람을 부르실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 15;16, 8:29-30, 1:4-5). 이렇게 성도라는 명칭은 하나님의 인정해 주심에 근거하나, 성도라 부르심을 받은 자들은 하나님의 자녀처럼 살도록 노력해야 한다 ( 2:15).
n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부르는 모든 자들” – 주의 이름을 부른다 함은 그를 하나님으로 인정(divine homage)하는 모습이다(왕상 8:43, 79:6, 80:18, 26:13). 그래서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에게 구원이 있다 ( 2:21, 10:13)
ㄷ.  배달인 디모데 (고전 4:17)
ㄹ.  편지를 쓰게 된 정황
n  글로에의 집 편으로 부터 교회 내에 분쟁이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 (고전 1:11)
n  스데바나와 브드나도와 아가이고가 에베소를 방문하여 고린도 교회의 소식을 가져왔다 (고전 16:17-18)
n  고린도 교회가 바울에게 교회 사정을 담은 편지를 적었다 (고전 7:1)
ㅁ.  송신지는 에베소이고 (고전 16:17), 신학자들에 의하면 기원 55년 경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ㅂ.  기원(:3) – 우리가 누리는 복의 근원은 하나님의 은혜(거저 주시는 사랑)이고, 그 복의 종합은 평강(하나님과, 또 이웃과)이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