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Monday, October 19, 2015

골로새서 서론


골로새서는 에베소서, 빌립보서, 빌레몬서 등과 함께 바울이 로마의 감옥에 첫번째로 갇혔을 옥중서신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디모데후서는 바울이 후에 2차로 로마의 감옥에 있을 쓰여진 옥중서신이다. 골로새서에는 에베소서와 비슷한 내용이 많은데, 에베소서는 하나님의 은혜와 은혜를 입은 교회에 대하여 총괄적으로 교회론 다루었고, 골로새서는 영지주의, 율법주의 등의 이단 사상이 교회에 침투하는 것에 대응하여 예수 그리스도의 충분하심과 탁월하심을 열거한 기독론’ (그리스도론) 주제이다.

1. 송신자 – “하나님의 뜻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의 사도된 바울과 형제 디모데” (1:1)

2. 기록 연대와 장소 바울이 로마 감옥에서 주후 61~62 경에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3. 수신자 – “골로새에 있는 성도들 그리스도 안에서 신실한 형제들” (1:2)

ㄱ.   골로새는 소아시아 중앙의 브리기아 지방의 도시로, 라오디게아와 히에라볼리와 가까이 있었다. 지역은 지진이 잦았으며 화산지대이었으나, 비옥한 땅으로 인해 목축업, 양모 생산과 모직, 염색업 등으로 인해 경제가 발달하고 부유하였다 ( 3:17). Colossinus 라는 자주빛의 염색이 있었을 정도였다.  또한 히에라볼리의 온천에서는 온수가 나고, 카드무스 산맥을 뒤로 두고 있는 골로새에서는 차가운 생수가 나는 것으로도 유명하였다 ( 3:16). 그러나 라오디게아와 히에라볼리는 정치, 경제, 재정적으로 계속 발달했고, 골로새로 다니던 무역로가 없어짐으로 인해 골로새는 점차 소도시화되었고, 지금은 골로새는 유적도 찾아볼 없게 되었다.

ㄴ.   기원전 200 경에는 시리아의 셀레우쿠스 왕조 (Seleucid Empire) 안티오쿠스 3세가 바벨론과 메소포타미아 지방으로 부터 유대인 2000 가정을 브루기아 지방으로 강제 이동시키었다. 유대인들은 브루기아 지방에서 경제적으로 번창하였고, 다른 지방에 있던 유대인들도 곳으로 이민오는 계기가 되었다. 바울 시대에는 지방에 유대인의 인구가 5만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ㄷ.   바울이 직접 골로새를 방문하여 복음을 전하지는 않았다 (2:1). 그러나 바울이 소아시아의 도시 에베소에 거하면서 2년여 복음을 전하였을 아시아에 살고 있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복음에 접하게 되었는데 ( 19:10), 때에 에베소에서 100 마일 떨어져 있는 골로새 지방에도 복음이 전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울이 골로새를 직접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빌레몬서와 골로새서에 같이 언급되는 오네시모 ( 4:9, 1:10), 아킵보 ( 4:17, 1:2), 에바브라 ( 4:12, 1:23) 등의 골로새사람들은 바울과 친분이 있었다. 골로새, 라오디게아, 히에라볼리에서 직접 사역한 목회자는 에바브라였다 (1:7, 4:12-13).

ㄹ.   골로새 교회에는 여러가지 이단 사상이 침투하였다. 하나는 유대인 율법주의였는데, 그리스도 안에서의 하나님 은혜만으로 충분하지 않고 율법을 지켜야한다는 사상이었다. “붙잡지도 말고 맛보지도 말고 만지지도 말라하는 (2:21) 규율을 강조하였다. 다른 하나는 철학과 헛된 속임수” (hollow and deceptive philosophy) (2:8) 였는데 영지주의적 사상들이었다. 이런 것들에 대하여 바울은 그리스도의 충분성을 이야기하며 반박하고 있다.

4. 배달인 바울의 동역자인 두기고가 에베소서를 전달하면서 ( 6:21-22), 골로새서도 배달하였다 ( 4:7-8). 골로새서는 에베소서와 더불어 여러교회가 돌아가면서 읽도록 쓰여진 회람서신이었다 ( 4:16).

5. 내용 골로새서의 주제는 기독론인데 1~2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충분성에 대하여 여러모로 다루고 있고, 3장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실제적 교훈을 말하며, 4장에 결론적인 말씀을 쓰고 있다. 골로새서와 에베소에는 비슷한 내용이 많이 있다.

비슷한 사상
에베소서의 구절
골로새서의 구절
수신교회의 믿음과 사랑을 칭찬함; 골로새교회는 더불어 소망을 칭찬함
1:15
1:4-5,8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자라갈 것을 기도함
1:17, 5:17
1:9-10
예수님을 통해 구속, 죄사함을 받음
1:7
1:14
그리스도는 교회의 머리시고, 교회는 그의
1:22-23
1:18, 24
그리스도는 모든 권세 위에 뛰어나심
1:21
1:16-17
우리는 흑암의 권세에서 벗어나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음
2:1-10
1:13, 21-22
의문에 속한 율법을 폐하심
2:14-15
2:14-15
옛사람을 벗어 버리고 새사람을 입어 거룩한 생활을 하라고 명함
4:17-5:13
3:1-17
성도는 그리스도께서 용서하신 같이 서로 용서해야 하고 서로 사랑해야
4:32, 5:2
3:13-14
남편과 아내의 관계에 대하여
5:22-33
3:18-19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 대하여
6:1-4
3:20-21
상전과 종의 관계에 대하여
6:5-9
3:22-4:1
복음 사역을 위한 기도 부탁
6:19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