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Thursday, July 14, 2016

히브리서 4장 14절 ~ 10장 18절 보충 교재 - 성도는 "왕 같은 제사장들"이다.

예수님께서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은 대제사장으로서 자신을 단번에 예물로 드리셔서 모든 믿는 자의 죄를 사하시는 속죄를 온전히 이루셨고, 지금도 하늘의 장막에서 영원한 대제사장으로 일하시고 계신다.  그러므로 구약의 제사제도는 이상 필요가 없어 폐지되었다. 그런데, 성경은 또한 성도들이 같은 제사장들이라고 가르친다 (벧전 2:9). 우리 성도가 제사장으로서 행하여야 무슨 사역이 남아있는가?

1.     성도는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어 제사장의 직분을 가지게 되었다.

ㄱ.  직분은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은 자에게만 합당하다 ( 5:4). 아론이 그렇게 부르심을 받았고 ( 16:1-21), 예수님도 하나님의 부르심대로 대제사장이 되셨다 ( 5:5-6, 110:4).
ㄴ.  성도란, 하나님께서 뜻대로 미리 예정하신대로 ( 1:5) 부르셔서 의롭다 하시고 영화롭게 하신 무리이다 ( 8:28-30). 신약에서 교회라는 말은 εκκλησια (에클레시아)인데 뜻은 불러 내었다’ (‘called out’) 이다. 고전 1:1에서 바울은 교회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거룩하여지고 성도라 부르심을 입은 자들이라고 하였다.
ㄷ.  이와 같이 부름받은 모든 성도에게 왕같은 제사장 칭호가 합당한 것을 베드로 사도는 증거하였다 (벧전 2:9)

2.     성도는 같은 제사장이다 (벧전 2:9).

ㄱ.  구약시대의 제사장은 레위 지파로 아론의 자손이어야 했다 ( 28:1-3, 2:61-63, 7:63-65). 그리고 중에서도 신체적인 결함이 없는 자가 ( 21:16-23), 각종 외형적인 예식을 통해 제사장으로 세워졌다 ( 8). 이런 제사장의 제도는 예수님이 오심으로 폐하여 졌다 ( 10:9).
ㄴ.  예수님은 의의 이요 평강의 으로 지극히 높으신 하나님의 제사장 멜기세덱( 7:1-2) 반차를 좇는 대제사장과 왕을 겸하신 분이시다.
ㄷ.  성도가 성도된 것은 혈통으로나 육정으로나 사람의 뜻으로 것이 아니다 ( 1:13). 대부분의 성도들이 육신적으로 레위 지파, 아론 자손이 아니다. 성도는 이미 폐하여진 구약의 제도에 따르는 제사장이 아니다.
ㄹ.  육신적으로 아브라함의 자손이 하나님의 자녀가 아니고, 오직 이삭과 같은 약속의 자녀가 하나님의 자녀이다 ( 9:7-8). 성도는 이삭과 같이 약속의 자녀이다 ( 4:28).
ㅁ.  멜기세덱의 반차를 좇아 왕과 대제사장의 직분을 동시에 수행하시는 예수 그리스도가 교회의 머리이시므로 ( 1:18, 1:22-23), 교회를 이루는 성도도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왕과 제사장이 되었고 ( 1:6, 5:10) 생명 안에서 왕노릇할 것이다 ( 5:17).

3.     성도에게는 복음의 제사장직무가 있다 ( 15:16)

ㄱ.  예수님은 대제사장으로서 언약의 중보/보증이시다 ( 7:22, 8:6-13). 언약의 내용은 (1) 하나님의 법을 우리 생각에 두시고 우리 마음에 기록하셔서 작은 자나 자가 하나님을 알게 하신다는 것과, (2) 여호와 하나님께서 우리의 하나님이 되시고 우리는 그의 백성이 된다는 것과, (3) 우리 죄를 사하시고 다시 기억하시지도 않으시겠다는 것이다 ( 8:10-12, 10:16-17, 31:33-34).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이다.
ㄴ.  예수님은 언약의 중보가 되셔서, 하나님의 백성들을 하나님께로 이끄시는 역할을 감당하셨다. 그의 순종하심이 많은 사람으로 의인이 되게 하고 생명에 이르게 하였다 ( 5:18-19).
ㄷ.  성도에게도 복음의 제사장직무를 주셨다.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전해진 언약을 선포하는 직무인 것이다. 어두움 가운데 있는 자들을 불러내셔서 그의 기이한 빛에 들어가게 하신 하나님의 은혜를 선전하는 직무이다 (벧전 2:9).
ㄹ.  바울과 같은 사도에게도 복음의 제사장직무를 주셨지만, 또한 이것은 예수님께서 성도 모두에게 위임하여 주신 것이다 (The Great Commission) ( 28:18-20).
ㅁ.  그래서 생명의 복음이 전해지게 하기 위해서, 바울은 자기 자신이 관제로 드려질찌라도 마다하지 않았다 ( 2:17, 딤후 4:6).

4.     성도가 제사장으로 드리는 예물은 자기 자신이다.

ㄱ.  예수님은 하나님께서 직접 마련하신 어린양으로 ( 10:5, 22:8,14, 1:29), 스스로가 예물이 되시어 자신을 단번에 드리셨다 ( 10:10).
ㄴ.  하나님이 우리에게서 요구하시는 예물은 우양이 아니고, 우리의 상한 심령이라 하셨다 ( 51:16-17). 우리 자신을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거룩한/신령한 제사로 드리라고 명하시었다 ( 12:1, 벧전 2:5).
ㄷ.  성도는 세례를 받을 때에 예수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부활하심에 동참함을 뜻한다 ( 6:3-11, 2:12). (: 예수님의 죽으심은 단번에 죽으심이므로, 세례는 받는 것으로 족하다). 이와 같이 성도는 그리스도의 죽으심과 고난에 동참하는 것이 마땅하다 ( 8:17).
ㄹ.  성도가 이와 같이 예수님의 죽음에 동참하여 올바른 예물이 되는 것은, 이제는 이상 죄에게 종노릇하지 않고 ( 6:6), 생명 가운데서 행하는 것이다 ( 6:4). , 긍휼을 베푸는 것과 ( 9:13), 선을 행함과 ( 13:16), 하나님을 찬미하는 생활을 하는 ( 13:15) 등이다.
ㅁ.  또한 복음을 전할 때에, 복음을 받는 자들이 하나님의 성령 안에서 거룩하게 되어 하나님께서 받으심직하게 하는 것도, 우리가 제사장으로 드리는 예물이 된다 ( 15:16).

5.     성도는 제사장으로서 중보기도의 의무가 있다.

ㄱ.  하나님과 사람 사이에 중보자(μεσιτης, 메시테스, Mediator, Go-between) 예수님 뿐이다 (딤전 2:5, 8:6, 9:15, 12:24). 예수님 외에는 우리를 하나님께로 나아가게 있는 분이 없다 ( 14:6, 4:12).
ㄴ.  예수님은 하늘의 장막에서 권능의 우편에 앉으셔서 항상 살아 계시면서, 성도를 위하여 간구하시고 계시다 ( 7:24-25, 8:34). 또한 성령께서도 우리를 위하여 친히 간구하신다 ( 8:26-27). (여기서 간구라는 말은 εντυγχανω (엔퉁카노, intercession)로서 다른 사람을 위해 변호하거나 탄원하거나 청원한다는 뜻이다)
ㄷ.  그리고, 성도들도 다른 위를 위하여 기도할 것을 명하셨다.
·      딤전 2:1 –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구와 기도와 도고와 감사를 하라고 했다. 여기서 도고 말은 KJV 에서는 intercessions 라고 번역이 되어있는데, 원어로는 εντιμος (엔티모스) 인데, 뜻은 (, 하나님) 담대히 접견하여 (다른 사람의) 사정을 아뢴다는 뜻이다. 에스더가 아하수에로왕 앞에 나가서 이스라엘의 사정을 아뢴 것과 같다고 있겠다 ( 5:1-8, 7:1-6)
ㄹ.  우리의 기도의 대상은 아주 광범위하다
·      모든 사람 위하여 (딤전 2:1). 항목에는 특별히 위정자들 (당시에는 그리스도인들을 핍박하던 위정자들) 위한 기도가 포함되어 있다 (딤전 2:2). 이로서 성도가 모든 경건과 단정한 중에 고요하고 평안한 생활을 하려함이다. 위정자는 하나님의 세우심을 받아 사회의 질서와 공의를 베풀도록 되어 있다 ( 13:3-4).
·      원수를 사랑하고 핍박하는 자를 위하여 기도하라고 하셨다 ( 5:44, 6:28). 하나님께서 일반 은사 (, 햇빛과 ) 악인과 선인에게 내리시듯 ( 5:45), 우리의 사랑과 기도도 의인을 위하여 아니라 악인을 위하여서 까지 하라 하셨다.
·      바울과 모세가 그리 하였듯이, 자신의 (육신적) 민족을 위해 기도해야 것이다 ( 10:1, 9:3, 32:31-32). 민족의 죄는 죄라는 심정으로 (1:6).
·      그러나, 예수님께서 그를 믿는/믿을 자들을 위해서 특별히 기도하셨듯이 ( 17:9,20), 우리는 (바울이 그러하였듯이) 교회를 위해 기도해야 한다 ( 1:9, 1:16-19, 3:14-19, 6:18, 1:4-5, 1:3,9, 살전 1:2, 살후 1:11).
·      그리고, 교회 안에서 서로를 위해서 기도해야 한다 ( 5:13-18, 딤후 1:3).
·      특별히, 복음의 일군들을 위해서 기도해야 한다 ( 9:38, 10:2, 고후 1:11, 6:19, 4:3, 살후 3:1)

·      그리고 시험에 빠져 범죄한 형제를 위해 기도할 것이다 (요일 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