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Blog

Sunday, May 10, 2015

빌립보서 서론

빌립보서는 에베소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디모데후서와 더불어 옥중서신의 하나이다. 에베소서 같이 교리를 다루는 편지가 아니고, 빌립보 교회의 사정을 살피고 권면하기 위해 편지이다. 빌립보 교회는 유럽의 교회요, 궁핍한 가운데서도 바울의 사역을 재정적으로 뒷바라지한 유일한 교회였는데, 빌립보서에는 바울의 인격적 요소가 많이 나타나 있고, “라는 말이 52회나 나온다. 바울 자신이 옥중생활을 하면서도, “기뻐하라 빌립보 성도들을 권면하고 고난을 이겨낼 것을 격려하고 있다.

1. 송신자 – “그리스도 예수의 바울과 디모데” (1:1)

ㄱ.   대부분의 바울의 서신에서는 그의 사도직을 머리말에 강조하였었다 ( 1:1, 고전 1:1, 고후 1:1, 1:1, 1:1, 1:1, 딤전 1:1, 딤후 1:1, 1:1).

ㄴ.   그러나, 마게도냐 지방의 빌립보와 데살로니가의 교회에 편지에는 자신의 사도됨을 편지 서두에 강조하는 것이 없다 (살전 1:1, 살후 1:1). 마게도냐의 교회들과 사울 간의 각별한 관계를 미루어 살펴 있다. 이미 사도로 인정받은 상태에서 이상 강조할 필요를 느꼈을 지도 모르겠다.


ㄷ.   사도 바울은 단지 자신을 그리스도 예수의 종이라 표현했는데, (δούλος) 사환(servant)정도가 아니라 노예(slave) 가리키는 말이었다. 바울은 자신이 그리스도께서 댓가를 지불하고 사신 (고전 6:20) 소유물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리스도께 절대 복종할 의무가 있었다. 이란 말은 특별한 교직에 대한 명칭이 아니고, 일반 신자에게도 적용할 있는 말이었다 (고전 7:22, 6:6, 벧전 2:16, 1:1, 2:20, 7:3). (: 구약 성서에서는 하나님의 이란 명칭이 특별한 경우에만 영예스럽게 적용되었던 같다 모세 ( 1:1-2), 여호수아 ( 2:8), 다윗 ( 78:70, 89:3), 선지자들 ( 7:25, 3:7))

2. 수신자 –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빌립보에 사는 모든 성도와 또는 감독들과 집사들” (1:1)

ㄱ.   빌립보의 역사 빌립보에는 본래 금과 은의 광산이 있어서 페니키아시대에 상업의 중심지로 흥성하였다. BC 4세기에 빌립 왕이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도로를 지배하기 위해서 자기 이름을 따서 빌립보라는 도시를 세웠고, 로마 시대에 와서는 빌립보 전투에서 안토니가 부르터스와 캐시우스를 파하고 제국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빌립보는 로마의 식민지가 되었는데 ( 16:12), 빌립보는 일종의 ()로마로서, 로마의 풍습과 언어와 의식을 따랐고, 빌립보의 시민은 로마의 시민권을 갖게 되었다. 그래서 빌립보 사람들은 로마 시민권에 대한 자긍심을 갖고 있었다 ( 16:21).

ㄴ.   바울과 빌립보의 관계

·         바울이 바나바와 갈라 서서 실라와 더불어 2 전도여행을 떠나 ( 15:36-41), 루스드라에서 디모데와 동행하게 되고 ( 16:1-3), 계속 아시아에서 말씀을 증거하려 했으나 성령께서 말씀을 전하지 못하게 하셨다 ( 16:6). 드로아에서 바울이 밤에 환상을 보니, 마게도냐 사람이 청하기를 건너와서 우리를 도우라하였고, 하나님께서 마게도야에 복음을 전하라 명하심으로 인정하고 건너가서 다다른 마게도냐의 성이 빌립보이었다 ( 16:9-12).

·         바울의 일행은 빌립보에서 사람을 만났는데, 사회적, 경제적으로 각기 다른 사람들이었다. 그리스도의 복음이 사회적 상하를 가리지 않고 보편적으로 전해진 예라 있다.

n  본래 소아시아의 두아디라 사람으로 자주 장사인 루디아라 하는 여자가 바울이 전하는 복음을 받고 그와 집이 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집에서 바울을 유하게 하며 복음을 전하게 하였는데 ( 16:14-15), 집은 믿음의 형제들이 모이는 처소가 되었다 ( 16:40).
n  귀신 들려 점을 쳐서 주인에게 이득을 주던 여종을 만나, 그에게서 귀신이 나오게 하였다 ( 16:16-18). 바울과 실라는 일로 인해 정당한 재판도 없이 매를 맞고 옥에 가두워지게 되었다 ( 16:19-24).
n  옥에서 바울과 실라가 찬미할 , 지진이 나서 옥문이 열리고 죄수들을 매인 것이 풀어지게 되었는데, 일을 통해 간수와 가족이 예수님을 믿고 세례를 받게 되었다 ( 16:25-34).
n  이와 같이 빌립보 교회의 시작에는 바울이 투옥되는 경험이 있었는데, 바울이 떠난 뒤에도 빌립보 교회에는 비슷한 고난이 있었던 같다 ( 1:7).

·         바울은 장막 깁는 일을 하며 ( 18:3), 복음사역에 필요한 비용을 스스로 충당하였으나, 유독 빌립보 교회는 바울에게 여러번 재정적 도움을 주었다 ( 4:15).

-           바울이 데살로니가에 있을 때에 두번 선물을 보냈다 ( 4:16).
-           바울이 고린도에 있을 때에도 바울의 필요를 충족시켰다 (고후 11:9).
-           빌립보 교회를 비롯한 마게도냐 교회들의 풍성한 연보는 바울에게 크게 칭찬을 들었고 고린도 교회에 귀감이 되었다 (고후 8:1-5)
-           그리고 로마의 옥중에 있는 바울을 돌보게 하기 위하여 빌립보 교회의 사역자인 에바브로디도를 보내었는데 ( 4:18), 그가 그러던 오히려 병을 얻었고, 바울은 그를 ( 편지를 들려서) 다시 빌립보에 돌려 보내게 되었다 ( 2:25-30).
-          이와 같이 빌립보 교회와 바울은 각별한 관계를 갖고 있었다.

3. 기록연도 28:30 언급된 로마에서의 1 투옥기간인 주후 61-63 경에 에베소서, 골로새서, 빌레몬서 등과 비슷한 연도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바울은 서신 중에 자기가 매임 받은 상태에 있는 것을 언급하고 있다 ( 1:13-14).


4. 배달인 에바브로디도 ( 2:25)

5. 내용

ㄱ.   빌립보서에도 교리적인 부분이 조금 있으나 (2:5-11, 3:9-11, 20-22), 편지는 주로 교회의 실제적인 문제를 다루었다. 복음에 합당한 생활, 특히 인내, 단합, 겸비 등의 덕행을 권하고 (1:27-2:18), 디모데와 에바브로디도 등과 방문할 것에 대해 얘기하고 (2:19-30), 거짓 스승에 대하여 경고하고 (3:1-21), 교회 안에 있는 다툼에 관해 권면하였다 (4:2-3).

ㄴ.   바울의 인격적인 면이 많이 나타나는 편지로서, ‘라는 말이 50 이상 나온다.

ㄷ.   그러나 가장 뚜렷한 것은 그리스도 중심 사상이다 (1:18-21, 2:5, 3:7-12).


ㄹ.   그리고 옥중 서신임에도 불구하고, 바울은 빌립보 교회에게 기뻐하라 것을 거듭 거듭 명하고 있다 (2:18, 3:1, 4:4)